본문 바로가기
투자/투자생각

삼성증권 리포트 [블록체인 생태계] 요약

by thomasito 2021. 11. 18.
반응형

출처 : 삼성증권

암호화폐 비즈니스

1. 가상자산 수탁(custody) 서비스 :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자산을 보관하고 거래를 중개해주는 수탁 서비스를 제공

2. 금융기반 서비스

- 1. 예치 : 고객이 암호화폐 자산을 lock-in 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자수익 수취

- 2. 스테이킹 :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로 발생하는 이자보상을 수취

- 작업증명(PoW) : 채굴참여자가 컴퓨터 연산력을 활용해 가장 먼저 암호를 해독하면 새로운 블록을 검증할 자격이 부여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액의 암호화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채굴자에게 발행되는 방식

- 지분증명(PoS) : 보유 코인의 지분에 따라 새로운 블록을 검증할 자격이 부여되고 보상이 지급

- 스테이킹 : 사용자가 블록의 검증 및 보상을 위해 지분증명 방식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보유코인을 예치하는 것을 말함

- 3. 대출(Lending) : 암호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를 대출

3. 부가사업 - 암호화폐 결제서비스

 

자산토큰화와 NFT

자산토큰화(Asset tokenization) 일정한 가치가 존재하는 자산의 소유권을 디지털화한 토큰으로 발행하여 자산에 대한 권리를 분할하는 행위를 의미함. 부동산, 미술품, 저작권 등 유무형의 자산이 될 수 있으며 분할의 대상이 회사가 될 경우 투자자는 법인의 지분을 보유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 자산토큰화의 효용 : 1) 유동성 확보 2) 거래비용 효율화 3) 거래투명성 확보 4) 투자접근성 제고

- NFT : 대체불가능한 토큰으로 자산 고유의 가치를 가지는 게임아이템, 한정판 상품, 디지털 아트, 저작권 등의 소유권이 NFT 화되어 거래되고 있음

- STO :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 실물자산에 대한 지분권리를 토큰으로 연계한 방식. 투자자는 보유한 증권형 토큰의 개수에 따라 발행사가 창출한 이윤의 일부를 배당으로 받거나 경영권의 일부를 행사 가능

 

향후 자산 토큰화 과정에서 실물자산 위탁 비즈니스의 중요도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실물 위탁 사업자의 신뢰도가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자본력과 안정성 측면에서 비교우위가 있는 금융사가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음

반응형

댓글